베이직쎈 공통수학2 답지 pdf를 제공해 드리는 사이트입니다. 새 교육과정이 업데이트된 버전이므로 아래의 책 표지를 확인하시고 다운로드하여 가세요. 해설과 함께있는 자세한 풀이과정 답지와 답만 기재되어 있는 빠른 답지가 있습니다. 베이직쎈 공통수학2 답지는 총 120page의 해설지를 제공합니다.
💓 추가 자료 (필요한 건 댓글로 문의 시 업데이트)
2025 베이직쎈 수2 답지 사이트 pdf (새 교육과정 업데이트)
2025 베이직쎈 수1 답지 사이트 pdf (새 교육과정 업데이트)
2025 베이직쎈 공통수학1 답지 사이트 pdf (새 교육과정 업데이트)
2025 라이트쎈 공통수학1 답지 pdf(새교육과정 업데이트)
2025 라이트쎈 공통수학2 답지 pdf (새 교육과정 업데이트)
표지와 목차를 확인하고 답지를 다운로드하세요.
베이직쎈 공통수학2 새 교육과정 버전입니다.
<구 버전은 표지 모양이 다릅니다.>
베이직쎈 공통수학2 답지 2종세트 pdf
공통수학2 답지 pdf를 이용해 열공하셔서 좋은 성적 거두세요. 화이팅!!
베이직쎈 공통수학2 목차
- 도형의 방정식 (평면좌표, 직선의 방정식, 원의 방정식, 도형의 이동)
- 집합과 명제 (집합의 뜻과 표현, 집합의 연산, 명제, 명제의 역과 대우)
- 함수 (함수, 유리식과 유리함수, 무리식과 무리함수)
총 3가지 대단원을 확인하고 답지를 다운로드하세요.
교재 구성
베이직쎈 공통수학2은 해설+답지, 빠른 답지(정답만 기재)로 총 2가지 답지 pdf를 제공합니다.
교재명 | 베이직쎈 공통수학2 |
답지 구성 | 해설+답지, 빠른 답지(정답만 기재) |
총 page | 312page (본책 200page, 정답 및 풀이 112page) |
저자 | 홍범준, 신사고 |
대상 | 고등 1학년 |
교육 과정 | 2022 개정 교육과정 반영 |
베이직쎈 공통수학2 효과적인 공부방법 (TIP)
11가지 팁을 통해 공통수학2 과목을 효율적으로 공부해 보세요.
1. 평면좌표
좌표평면에서 점의 위치를 (x, y)로 표현하는 법부터 연습하세요. 두 점 사이의 거리 공식(√(x₂-x₁)² + (y₂-y₁)²)과 중점 구하는 공식((x₁+x₂)/2, (y₁+y₂)/2)을 활용해 문제를 풀 때 계산 실수를 줄이세요. 그래프 종이를 사용해 점을 직접 찍어보며 시각적 이해를 높이고, 사분면별 좌표 부호 규칙을 외우세요.
2. 직선의 방정식
기울기(m)와 절편(b)을 이용한 y = mx + b 형식을 기본으로 삼으세요.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은 기울기 계산 후 점-기울기 형식(y - y₁ = m(x - x₁))으로 변환합니다. 수직·수평 직선은 각각 x = a, y = b임을 구분하고, 평행·수직 조건(기울기 곱 = -1) 문제는 유형별로 반복 연습하세요.
3. 원의 방정식
표준형 (x - h)² + (y - k)² = r²에서 중심(h, k)과 반지름 r을 즉시 읽을 수 있도록 훈련하세요. 일반형 x² + y² + Ax + By + C = 0을 표준형으로 변환할 때 완전제곱식을 적용하며, 중심과 반지름 계산 시 부호 처리에 주의하세요. 원과 직선의 위치 관계 문제는 판별식 활용을 익히세요.
4. 도형의 이동
평행이동은 도형 방정식에서 x → x - h, y → y - k로 치환하며, 대칭이동은 x축(y → -y), y축(x → -x), 원점(x → -x, y → -y)으로 바꾸는 규칙을 이해하세요. 회전이동은 복잡하므로 90°·180° 등 특정 각도의 좌표 변환 공식(예: 90° 회전 시 (x, y) → (-y, x))을 외우는 게 효율적입니다.
5. 집합의 뜻과 표현
원소나열법({1, 2, 3})과 조건제시법({x | x > 5})을 자유자재로 변환하세요. 부분집합(⊂), 진부분집합, 집합의 크기(원소 개수) 개념을 문제에 적용하며, 벤 다이어그램을 그려 집합 관계를 시각화하세요. 공집합과 전체집합의 정의를 명확히 구분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6. 집합의 연산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 여집합(∁)의 연산 규칙을 문제 풀이로 체화하세요. 드모르간 법칙(∁(A∪B) = ∁A ∩ ∁B)은 직접 증명해보며 이해하고, 원소 개수 문제는 n(A∪B) = n(A) + n(B) - n(A∩B) 공식을 활용하세요. 실생활 사례(예: 설문조사 결과)에 적용해 추상적 개념을 구체화하세요.
7. 명제
진리값(참/거짓)을 판단할 수 있는 문장을 명제로 정의하세요. 조건문(p → q)의 진리표를 직접 작성해보고, 반례 찾기 문제에 집중하세요. 모든 기호 사용 시 전체집합 범위가 명확해야 하며, 명제의 부정은 ‘∼’ 기호로 표현하고 의미를 반대로 바꾸는 연습을 하세요.
8. 명제의 역과 대우
조건문 p → q에서 역(q → p)과 대우(∼q → ∼p)를 구분해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대우는 본 명제와 진리값이 동일함을 증명 문제로 확인하고, 역은 본 명제와 무관함을 반례를 들어 이해하세요. 명제 간 관계를 도표로 정리하고, 논리적 추론 문제에서 대우 증명법을 활용하는 훈련을 하세요.
9. 함수
정의역-공역-치역의 관계를 그래프와 연결해 이해하세요. 일대일함수(단사), 일대일대응(전단사) 조건을 구분하며, 합성함수는 f(g(x)) 계산 시 정의역 제한을 확인하세요. 그래프를 통해 증가/감추세, 최대·최소를 파악하고, 역함수 구할 때는 x와 y를 바꾼 후 정리하는 과정을 반복 연습하세요.
10. 유리식과 유리함수
유리식의 덧셈/뺄셈은 통분 후 계산하고, 약분 시 분자·분모의 인수분해가 필수입니다. 유리함수 그래프의 점근선(x = a, y = b)을 찾고, 구멍(분자·분모 공통인수)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방정식 풀이 시 분모≠0 조건을 항상 명시하며, 부등식은 부호 변화 지점(근·불연속점)을 기준으로 구간을 나누세요.
11. 무리식과 무리함수
무리식은 근호 안의 식 ≥ 0 조건을 먼저 확인하고, 분모에 근호가 있을 때 유리화하세요. 무리함수 y = √(ax + b) + c의 그래프는 평행이동 개념으로 접근하며, 정의역과 치역을 수직선에 표시하세요. 방정식 풀이 시 양변 제곱 후 검산으로 허근을 제거하고, 부등식은 극참값을 기준으로 해 구간을 분석하세요.